티스토리 뷰

2024 전기차 보조금 조회 신청방법
2024 전기차 보조금 조회 신청방법

 

전기차 구매를 고민하고 계신가요? 2024년에는 다양한 보조금을 통해 더욱 경제적으로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. 전기차 보조금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두 가지 형태로 지원됩니다. 두 종류의 보조금은 모두 받을 수 있으며 보조금 금액은 차량의 성능, 배터리 효율, 지역 등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.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2024 전기차 보조금 조회

2024년 전기차 보조금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보조금 기준은 차량의 성능 및 주행거리 등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.

 

 

2024 전기차 보조금 조회 신청방법
2024 전기차 보조금 조회 신청방법

2024년 전기차 정부 보조금 안내

2024년 전기차 보조금은 국비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으로 나뉘어 지급됩니다. 각 보조금의 상세 내용과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
정부 보조금

국비 보조금은 차량 가격에 따라 최대 65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.

 

⬛차량 가격 기준 - 8,500만 원 이하인 경우 국비 보조금 지급

  • 5,500만 원 미만 차량 : 100% 보조금 지원
  • 5,500만 원 이상 8,500만 원 미만 차량 : 50% 보조금 지원

⬛보조금 계산 기준

  • 성능 보조금: 중대형 최대 400만 원, 중소형 최대 300만 원
  • 배터리 안전 보조금: 20만 원
  • 인센티브: 배터리 효율 계수, 배터리 환경성 계수, 사후관리 계수, 보급 목표 이행 보조금, 충전 인프라 보조금, 혁신 기술 인센티브 등 최대 230만 원 추가

최종적으로 계산된 국비 보조금은 최대 650만 원입니다.

 

2024 전기차 보조금 조회 신청방법
2024 전기차 보조금 조회 신청방법

지자체 보조금

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국비 보조금 외에 추가로 지자체 보조금을 지원합니다. 지자체별 보조금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:

시도 전기자동차 보조금 (만원)
서울특별시 150
부산광역시 250
대구광역시 300
인천광역시 300
광주광역시 370
대전광역시 300
울산광역시 325
세종특별자치시 250
경기도 200~400
강원 특별자치도 251~288
충청북도 650
충청남도 700
전라북도 700
전라남도 600~850
경상북도 600~1,100
경상남도 566~1,140
제주특별자치도 400

보조금 지원 대상 및 조건

보조금 지원 대상 및 조건은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,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또는 구매 예정 지역의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 및 지원 차종

⬛지원 대상

  • 개인, 법인, 공공기관, 지방자치단체, 지방공기업 등
  •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원 대상 자동차를 신규 구매하여 국내에 등록하는 경우

⬛지원 제외 대상

  • 전기차 제작·수입사가 자사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
  • 개인이 ‘재지원제한기간(승용·승합 2년, 화물 5년)’ 내 2대 이상의 동일 차종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

전기차 보조금 지원 차량

  • 재활용 가치가 높고 환경오염이 낮은 차량
  • 전기차 인프라 구축에 노력하는 브랜드 차량

⬛예시

  • 현대 아이오닉 5, 아이오닉 6 일부 트림은 2024 전기차 보조금 100% 지급
  • 폭스바겐 e-SUV ID.4는 최대 492만 원 국고 보조금 지원

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

  1. 보급사업 공고 : 지방자치단체에서 보급사업에 대한 공고 실시
  2. 구매계약 : 자동차 제조사 또는 수입사와 구매계약 체결
  3.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 : 신청서 작성 및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제출
  4. 구매지원 대상자 선정 및 통보 : 지방자치단체가 구매지원 대상자 선정 및 통보
  5. 차량 출고 및 등록
  6. 구매보조금 신청 접수 : 증빙서류 제출
  7. 보조금 지급 : 증빙서류 제출 후 14일 이내 보조금 지급

2024 개편된 전기차 보조금 안내

전기차 만족도 향상 친환경성 제고를 위한 보조금 개편(보도참고자료)(대기미래 2.6).pdf
0.53MB